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odemailer
- 부자아빠가난한아빠2
- Study
- googleapis
- 자청
- 오브젝트
- BOOK
- Nestjs
- 조영호
- typescript
- 세이노의가르침
- 개발자
- 역행자
- Validation
- PRISMA
- Object
- UNiQUE
- futureself
- AWS
- 클린코드
- OOP
- 독후감
- 일상속귀한배움
- serverless
- nodejs
- 객체지향의사실과오해
- 퓨처셀프
- 북스터디
- validator
- 스터디
- Today
- Total
우당탕탕 우리네 개발생활
상반기 타임테이블 + 블로그 결산 본문
상반기 타임테이블
- 05:30 ~ 06:15 출근준비
- 06:15 ~ 06:30 역 이동
- 06:30 ~ 07:45 지하철 출근(미국 증시 뉴스 보기 / 책읽기 or 글쓰기 / 기술서적 공부)
- 07:45 ~ 08:45 출근 후 1시간 개인시간 보내기(책읽기 or 글쓰기 / 기술서적 공부)
- 09:00 ~ 18:00 업무
- 18:00 ~ 20:00 지하철 퇴근(가볍게 아티클 보기 / 기술 강의 시청 / 공식 문서 읽기)
- 20:00 ~ 22:00 개인 시간
- 22:00 ~ 23:30 책읽기 or 글쓰기 / 기술서적 공부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고 위 타임테이블대로 상반기를 지냈다.
06:30 ~ 07:45 지하철 출근(미국 증시 뉴스 보기 / 책읽기 or 글쓰기 / 기술서적 공부)
지하철 출근 시에 1호선을 탑승하면 거의 앉아서 가지 못하기 때문에 유튜브로 할 수 있는 것들을 주로 진행했다. 1호선을 탑승하자마자 한경 글로벌 마켓 - 오늘장 10분만을 시청하는 것이 루틴이 되었다. 시청을 마치면 신도림역에서 내리기까지 10~15분 정도의 시간이 남는데 이 때는 추가적으로 확인하고 싶은 글로벌 마켓 관련 영상들을 시청하거나 눈을 붙이기도 했다.
이 시간대에 2호선 출근은 정말 좋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신도림역에서는 출근자들을 배려해 2호선 탑승 장소를 따로 제공해 무조건 앉아서 갈 수 있다(배차 간격이 매우 짧기 때문에 앉아서 가지 못한다 싶으면 다음 차를 기다린다). 앉아서 가게 되면 책을 읽거나 기술 서적을 공부하기가 수월하다.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말할 순 없지만 이 시간을 활용하여 많은 책들을 읽고 때론 모바일 티스토리를 통해 블로그를 작성하기도 했으며 기술서적에 메모를 하며 공부도 했다. 하지만 너무 피곤할 때는 모든 걸 접고 눈을 붙이면서 가기도 했다.
07:45 ~ 08:45 출근 후 1시간 개인시간 보내기(책읽기 or 글쓰기 / 기술서적 공부)
출근하자마자 회사 카누 스틱커피 2개를 탄 후에 공부할 것들을 챙겨서 빈 회의실로 이동한다. 이 시간에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기술 서적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생각은 하루를 보내는 데 큰 영향을 끼치는데 그 하루가 적용을 해볼 수 있는 일종의 시험대가 되기 때문이다. 예시로 <데일 카네기 - 인간관계론> 이라는 책을 한창 읽었을 때 감명 깊었던 내용들을 동료들과의 관계에 적용해보려고 노력했던 기억이 있다. 기술에 대한 철학을 공부한 날은 해당 철학을 곱씹으며 업무에 임하기도 했다. 업무가 너무 바쁜 시기엔 바로 업무에 들어가기도 했다.
18:00 ~ 20:00 지하철 퇴근(가볍게 아티클 보기 / 기술 강의 시청 / 공식 문서 읽기)
퇴근길의 지하철은 정말 비좁다. 출근 1호선 때의 전략과 같이 스마트폰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택했다. 오전보단 확실히 집중력이 떨어져있음을 느낀다. 그럼에도 이 시간들을 꾸준히 사용했을 때 그 총량을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하나라도 더 얻어가려는 생각으로 열심히 해보았다. 당일 업무를 보면서 동료들이 공유해준 좋은 아티클이나 구글링을 통해 발견한 레퍼런스들은 개인 카카오톡에 저장을 해둔 이후에 주로 이때 확인을 하는 편이다. 또는 관심있는 주제의 기술 강의 유튜브 채널의 영상을 한 개 이상씩 꾸준히 독파했다. @쉬운코드 채널에서 데이터베이스 강의를 이 시간을 활용해 전부 다 들을 수 있었고, @gisdeveloper 채널에서 디자인패턴 강의 역시 상당 수 들을 수 있었다. 근래에는 자바스크립트기본 을 전반적으로 복습하고 있다.
22:00 ~ 23:30 책읽기 or 글쓰기 / 기술서적 공부
씻고 저녁까지 다 먹고 나면 체력적으로 쉬고 싶은 생각이 먼저 들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끝까지 집중력을 짜내기 위해 타이머를 이용했다. 그 날의 컨디션에 따라 정확히 사수하고 싶은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한 후 그 시간동안 만큼은 의식적으로 정해놓은 공부나 책읽기 또는 글쓰기에 집중을 했다. 완벽하게 지켜지진 않았고 푹 쉬어버린 날들도 많았다.
상반기 블로그 결산
총 50편이라는 블로그 글을 작성할 수 있었다. 작년 말부터 블로그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내 인생의 궤적을 나타낼 수 있는 글들을 작성하는데 초점을 맞춰왔다. 그래서 독서, 일상 속 배움, 생각 정리, 테크 등 다양한 분야를 작성했다. 작성했던 글들을 돌아보며 글이 잘써졌을 때와 어렵게 써졌을 때를 생각해봤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고 진실될수록 사족이 붙지 않은채로 글이 간결하게 써졌다. 반면 일상생활속에서 타성에 젖어 온전한 내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이 아닌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고 보여지기 위한 글을 작성하게 될 경우 사족이 많이 붙게 되고 방향성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경우엔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내가 정말 말하고 싶은게 무엇인지 대략적인 구조부터 재정비하고 생각정리를 충분히 했다. 이렇게 했을 때 작성했던 수많은 사족들이 대부분 제거되었다. 아직까지도 전문성이 높은 글들은 내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 지식과 경험이 아직도 높은 전문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조금씩 전문성을 쌓아가다보면 시기적절하게 내가 일상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글들속에 전문성이 자리잡게 되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7월 (총 3편)
[postgresql + prisma] nullable 값을 포함한 unique index는 partial index를 통해 구현해보자!
6월(총 8편)
[클린코드] 14~16장 정리(점진적인 개선, JUnit 들여다보기, SerialDate 리팩터링)
[클린코드] 7~9장 정리(오류 처리, 경계, 단위 테스트)
[Nestjs] index.ts(barrel)는 Circular Dependency를 야기한다
5월(총 15편)
[클린코드] 4~6장 정리(주석, 형식 맞추기, 객체와 자료 구조)
[클린코드] 0~3장 정리(들어가면서, 깨끗한 코드, 의미 있는 이름, 함수)
validation에 타협은 없다(feat. 보이스카웃 규칙)
<개발자 원칙> 멘토링에 갈증을 느끼고 있는 주니어들은 손?
[oop]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에 대해 정리하기 전에...
4월(총 2편)
[Nestjs] nodemailer로 메모리상의 엑셀파일을 전송해봤습니다
3월(총 8편)
[Nestjs] 결국 @nest-modules/mailer 대신 nodemailer를 사용했습니다
[JS] 객체 내 property를 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항상 용모를 단정하게 할 것!(부제: 이력서도 결국 나의 외면이다)
[Prisma] update와 updateMany의 where option은 다르다
<디지털 워> 그들의 치열한 전쟁을 간접경험하며 얻은 교훈
2월(총 9편)
[Nestjs] 간단한 이슈를 해결하려다 @Cron과 node-cron 오픈소스를 뜯어보게 되었습니다?
[Slack] Console에서 Incoming Webhook 생성해보기
[Nestjs] ! 과 ? 그리고 class-validator에 대한 고찰
[일상 속 귀한 배움 6] 이제야 비로소 알게 된 인생의 원동력
[일상 속 귀한 배움 5] 똑같은 말을 똑같이 이해할 것이라는 생각은 버리자
<나는 마트 대신 부동산에 간다> 성공한 부동산 투자자의 마음가짐과 행동
<세이노의 가르침> 이 가르침을 듣고도 바뀌지 않을텐가?
[일상 속 귀한 배움 3] integrity가 분명한 사람이 되자
1월(총 5편)
<울트라러닝> 무의식적으로 해왔던 학습에 대한 의미있는 고찰을 제시한다
[일상 속 귀한 배움 2] 한 때 좋아했던 카페베네의 좋지 못한 소식을 들으며 느낀 생각
<돈의 속성> 돈을 인격체로 대했을 때 생겨나는 놀라운 변화
<원씽> 수 많은 원씽들이 쌓여 생길 도미노 효과는 나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마치며
본성이 부지런하지 못하다보니 수많은 타협의 순간들이 있었다. 그래도 조금씩 조금씩 쌓아왔던 책에서 얻은 지혜들과 글쓰기를 통해 다짐했던 생각들이 한 발을 더 내딛게 만들어 줬다. 그러다 보니 50편이라는 블로그 글을 작성할 수 있었고 지난 연말에 기대했던 나의 모습들을 훨씬 상회하게 되었다. 더 욕심을 내거나 상반기의 성과를 이겨봐야겠다는 생각은 없다. 남은 하반기도 단순하게 꾸준히 타임테이블을 지켜나가보려고 한다. 연말 회고시엔 더 발전해있을 내 모습을 기대해본다.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을 후련하게 보내주기 위해 작성해 본 회고 (2) | 2023.12.31 |
---|